본문으로 건너뛰기

How to write Flow

1. Get Request Information

Flow 영역 조회 시 받는 정보(PK)로 사용자에게 PK 객체로 부여 되는 정보입니다. 주로 BigValue API 조회를 위해 사용되며, PK 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pnu : 선택한 영역 내 필지 고유 번호

  • road : 선택한 영역 내 도로명 주소 관리 번호

  • bigvalue : 선택한 영역 내 BigValue가 제공하는 단지 식별 번호

PK = {
'pnu' : [ ... ], # -- 필지 고유 번호
'road' : [ ... ], # -- 도로명 주소 관리 번호
'bigvalue' : [ ... ] # -- BigValue 단지키
}
# ================
# PK 호출 예시
# ================

pnu_list = PK['pnu']
print(pnu_list)

output :
---
['2826011100103940004', '2826011100103940020', '2826011100104850001', '2826011100105110001', ...]

2. Get API Information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API를 통해 호출할 수 있습니다.

3. Preprocessing

호출한 데이터를 분석 목적에 따라 정체, 가공, 분석하는 단계입니다. 분석을 위한 다양한 환경을 지원 합니다.

4. Send Protocol

분석 결과를 표현하는 다양한 방식을 Protocol을 통해 지원합니다. 지원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Layer Protocol](/flow/Architecture/protocol/Visualization Protocol/Layer) : 데이터를 지도에 표현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GeoJson 구조를 표준으로 사용합니다.

  • Report : 분석 결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표출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Description : 분석 결과에 대한 살명을 제공합니다 (Title, Text)

    Analysis Result : DataFrame 형태로 정리된 결과를 제공합니다.

    Visualization Protocol : 다양한 Charts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표현합니다.

  • Action Protocol : 분석 결과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Layer ProtocolReport(DataFrame)을 동적으로 연동하여 분석 결과의 전달력과 유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